취업뉴스
자료실


취업가이드

취업뉴스
자료실
취업뉴스
제목 | ['WFK 해외봉사단'을 아시나요?] 보람+취업 발판 만들기…젊은 그대, 떠나라!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관리자 | 등록일 | 2011-04-11 오전 10:47:14 | 조회 | 2195 |
첨부 파일 | 첨부 파일이 없습니다. | ||||
‘한국 이름 심은경’으로 유명한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미국대사는 젊은 시절 평화봉사단의 일원으로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. 그의 경력 사항 맨 밑에는 ‘1975~1977 평화봉사단 단원’이라고 적혀 있다.
평화봉사단(Peace Corps)은 1961년 3월 미국 케네디 대통령이 서명해 공식 출범한 미국 국무부 산하 해외봉사 단체다. 스 티븐스 대사는 평화봉사단 활동 경력을 바탕으로 미국 국무부에 입사해 다양한 요직을 거쳐 주한미국대사가 됐다. 그에게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유창한 한국어 실력을 잘 알 것이다. 대사에 임명될 수 있었던 것도 한국 생활을 통해 익힌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이렇듯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1950~1960년대부터 적극적으로 해외봉사 활동을 추진해 여러 개발도상국 현지에 능통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해왔다. 우리나라도 1989년 한국청년해외봉사단 창설 계획을 발표한 이후 20년 동안 해외봉사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. 특히 지난 2006년 반기문 전 외교부장관이 제8대 UN사무총장 자리에 오르고 2010년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등 세계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지위가 더욱 높아진 것에 힘입어, 한국의 젊은이들이 세계 곳곳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개척해 나가고 있다. 스티븐스 주한미국대사는 해외봉사단 출신 해 외봉사 활동은 여러 장점을 갖고 있다. 우선 세계시민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. 특히 대외 무상원조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(KOICA)이 주관하고 있는 World Friends Korea(WFK) 해외봉사단 사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. 각 정부 부처에 분산해 시행하던 해외봉사단 사업을 통합한 한국정부 파견 해외봉사단의 새로운 이름이다. KOICA는 선발된 봉사단원을 일정 기간 훈련시켜 2년 동안 개발도상국에 파견한다. 파견된 사람은 그 지역을 잘 아는 봉사단원이자 그 지역에 능통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. 2011년 2월 현재 1800여 명이 WFK 해외봉사단 사업을 통해 아시아, 아프리카, 중남미 및 중동 지역 등 46개국에 파견돼 있다.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별 전문가를 상시 모집하고 있으며, 파견될 국가의 언어 및 문화 수업을 비롯한 현지화 교육을 진행 중이다. 귀국 후에는 해외봉사 활동 경험을 활용해 적재적소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한다. WFK는 크게 7개 분야로 나뉘어 있다. WFK-한국해외봉사단, WFK-한국대학생해외봉사단, WFK-해외인터넷청년봉사단, WFK-개도국과학기술지원단, WFK-중장기자문단, WFK-퇴직전문가, 그리고 WFK-태권도평화봉사단이다. ![]() ‘내 손’으로 캄보디아 농촌마을을 일구다 |
이전글 | 국방부, 13∼14일 전역 간부 취업박람회 |
---|---|
다음글 | 2012년 국가공무원 3천108명 뽑는다…761명 증가 |